북한산성 대남문
서울특별시 종로구.은평구.성북구.강북구 일원에 위치한 북한산성은 사적 제162호 이다.
[등산객들의 주 관문]
이 산성은 1711년(숙종 37) 북한산에 쌓은 것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뒤 유사시에 대비해 한양 외곽에 성을 쌓자는 논의가 대두되면서 만들어진 산성이다.
[대남문과 현판]
당시 완성한 성곽의 길이는 7,620보, 즉 21리 60보이며, 지형에 따라 적절하게 축성방식을 달리하여 성벽을 쌓았다.
[성문 앞에 시설된 북한산성 복원공사비]
성곽시설로는 군사 지휘소인 장대를 세 곳(동장대.남장대.북장대)에 만들었고, 성문 6개소(북문.대동문.보국문.대성문.대남문.대서문), 암문 6개소, 수문 1개소를 두었다.
[성곽의 안쪽에서 본 문루]
성을 쌓는 것을 반대하던 사람들이 문제로 삼았던 식수 문제는 99개소의 우물을 파서 해결했다. 저수지도 26개나 만들고, 8개소의 창고를 두었다.
[문루에서 본 보현봉]
성 안에는 승군을 주둔시키기 위한 사찰을 여러 곳에 두었는데, 승군 총섭이 머물던 중흥사는 규모가 136칸에 달했다.
[문루에서 본 문수봉]
1712년(숙종 38)에는 상원봉 아래에 130칸 규모의 행궁과 140칸에 이르는 군창을 지었다.
[대남문 동쪽으로의 성곽]
근래 훼손되었던 대서문.대남문을 보수하였고, 대성문.대동문.보국문.동장대 등은 다시 지었으며, 성곽과 여장 등도 보수.정비하였다.
[서쪽으로의 성곽]
대남문은 북한산성의 가장 남쪽에 있는 성문으로, 산성이 축성된 1711년(숙종 37)에 지어졌다. 소남문이라도도 불린 대남문은 비봉 능선을 통해 도성의 탕춘대성과 연결되는 전략상 중요한 성문이다.
[대남문 현판]
성문 하부는 홍예 모양으로 통로를 내고 성문을 달아 여닫을 수 있도록 했다. 상부에는 군사를 지휘하고 성문을 지키기 위한 단층의 문루가 있다. 이 문루는 소실되었던 것을 1991년에 새로 복원한 것이다.<안내문>
'서울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영등포구(1) - 여의도 봄꽃축제 (0) | 2012.04.21 |
---|---|
#서울 서대문구 #태극기 휘날리는 독립문역 #태극기 #독립문역 (0) | 2011.06.30 |
서울 종로구(7) - 삼각산 문수사 (0) | 2011.06.03 |
북한산 신라진흥왕순수비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0) | 2011.05.02 |
서울 종로구(6) - 창경궁팔각칠층석탑 (0) | 201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