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는 조선조의 훈적 가문의 하나인 경주 김문에서 병조판서 김노경과 기계유씨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나
큰아버지 김노영 앞으로 출계(양자로 들어가서 그 집의 대를 이음)하였다.
그의 가문은 안팎이 종척으로 그가 문과에 급제하자 조정에서 축하를 할 정도로 권세가 있었다.
1819년(순조 19) 문과에 급제하여 암행어사. 예조 참의. 설서. 검교. 대교. 시강원 보덕을 지냈다.
1830년 생부 김노경이 윤상도의 옥사에 배후 조종 혐의로 고금도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순조의 특별 배려로 귀양에서 풀려나 판의금부사로 복직되고,
그도 1836년에 병조참판. 성균관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1834년 순조의 뒤를 이어 헌종이 즉위하고, 순원왕후 김씨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이때 그는 다시 10년 전 윤상도의 옥사에 연루되어
1840년부터 1848년까지 9년간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헌종 말년에 귀양이 풀려 돌아왔다.
그러나 1851년 친구인 영의정 권돈인의 일에 연루되어 또다시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되었다가 2년 만에 풀려 돌아왔다.
이 시기는 안동 김씨가 득세하던 때라서 정계에는 복귀하지 못하였다.
그는 아버지의 묘소가 있는 과천에 은거하면서 학예와 선리에 몰두하다가 생을 마쳤다.(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추사적거지의 안내문 내용이다.
강도순은 김정희가 제주 유배 시절 가르친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는데,
강도순네 밭을 밟지 않고는 마을을 지나갈 수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부유했다고 전한다.
집 울타리 밖으로 나갈 수 없는 위리안치의 형을 받은 김정희 선생은 이곳에서 학문과 예술을 심화시켰다.
그의 추사체는 벼루 열 개를 구멍 내고 붓 천 자루를 닳아 없어지게 했다고 할 정도로
고독한 정진 속에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김정희에게는 문하생이 많아 '추사의 문하에는 3천의 선비가 있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였는데,
제주 유배 시절에도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쇠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추사와 초의 - 친구사이의 매우 두터운 우정을 '금란지교'라 한다.
추사 김정희(1786 ~ 1856)와 초의 의순(1786 ~ 1866)의 우정이 그러하지 않았을까!
1815년 처음 만난 추사와 초의.
이후 추사는 초의에게 걸명시를 보내고, 그에 대한 답례로 글씨를 보내곤 했는데 대표적인 글씨가 '명선'이다.
1840년 제주도로 유배 온 추사는 차를 마시며 쓸쓸한 마음을 달랬다.
1843년 초의는 제주도에 내려와 6개월간 추사와 함께 시간을 보내기도 하였다.
추사는 초의에게 '일로향실(일로향실)'이란 글씨를 써주었으며, 이것은 현재 해남 대둔사 일지암에 걸려있다.
'제주도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현사 #고득종 #김진용 (0) | 2021.05.09 |
---|---|
#제주성지 #제주읍성 #제이각 #적루 #장대 #치성 (0) | 2021.05.08 |
#알뜨르비행장 #격납고 #아래 벌판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0) | 2021.05.06 |
#방주교회 #노아의 방주 #건축가 이타미 준 (0) | 2021.05.06 |
#일관헌 #근민헌 #관청할망 #안할망 (0) | 2021.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