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나 만의 택리지를 꿈꾸며,...

경기도 기행132

#강화 선원면 #선원사지 #사적 제 259호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지산리에 있는 는 1977년 11월 29일 사적 제 259호로 지정되었다. 1232년(고려 고종 19) 최이(최우)가 호국사찰로 창건하였다. 여기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현재 합천 해인사에 있는 고려대장경 목판을 만들어 보관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순천 송광사와 더불어 2대 선사였으나, 1398년(태조 7) 훼철되어 그 유지 조차 찾지 못할 정도로 폐허가 되어버렸다. 1976년 동국대학 강화학술조사단이 선원사지를 발굴하였다. 절터는 산 중턱에서 경사가 끝나는 지점까지 층단식으로 이루어졌고, 건물터로 추정되는 사역의 중심지는 남북길이가 250m, 동서가 170m에 이른다. 전사역은 대략 4구역으로 구분되는데, 제일 아래 층단은 도로에서 22m 떨어진 지점으로 석축의 길이는 60m이다. .. 2022. 8. 29.
#강화 정수사 #정수사 대웅보전 #툇마루 #보물 제 161호 는 신라 선덕여왕 8년(639) 희정선사가 지었다고 전하며, 조선 시대 세종 8년(1426) 함허대사가 다시 지었다. 본래는 정수사(精修寺)였으나 다시 지을 때 건물 서쪽에서 맑은 물이 솟아나는 것을 보고 이름을 정수사(淨水寺)로 고쳤다고 한다. 강화 정수사 법당은 석가모니불상을 모신 대웅보전이다. 1597년 보수 공사 때 발견한 숙종 15년(1689)에 수리하면서 적은 기록을 보면 세종 5년(1423)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규모는 앞면 세 칸, 옆면 네 칸이지만 원래는 툇마루가 없이 앞면과 옆면이 3칸 건물이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인(人) 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고, 지붕 처마 무게를 받치는 구조인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건물의 앞 뒷면이 서로 다르.. 2022. 8. 26.
#강화 고인돌 #강화 부근리 지석묘 #유네스코 문화유산 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유적으로 사적 제 137호이다. 근처에 강화 자연사, 역사 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만든 무덤으로 제사를 지내는 제단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고인돌은 생김새에 따라 땅 위에 책상처럼 세우는 탁자식과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받침돌 없이 평평한 돌을 얹는 바둑판식으로 나뉜다. 이 유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탁자식 고인돌로, 덮개돌의 무게가 약 53톤이다. 우리나라는 고인돌 왕국이라고 할 만큼 세계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이 남아 있다. 그 중에서도 강화도 고인돌은 동북아시아 고인돌의 흐름과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강화 부근리 지석묘는 2000년에 고창. 화순 고인돌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하도리 오류내 고인돌군 5기 .. 2022. 8. 19.
#혜음원지 #혜음원 #행궁 #고려 국립숙박시설 아! 깊은 숲속이 깨끗한 집으로 변하고 무섭던 길이 평탄한 대로가 되었다. 미곡(米穀)을 갖추어 놓고 그 이익을 얻어서 죽을 쑤어서 여행자에게 공급하였다. 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241에 있는 건물의 터로 사적 제 464호이다. 건물 하나 없는 넓은 공간에서 층층을 오르며 선생님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는 수 십 명의 청소년들 모습이 참 보기 좋다. 안내문의 내용이다. 은 남경과 개성 간을 통행하는 관료 및 백성을 위하여 고려 예종 17년(1122)에 건립된 국립숙박시설이다. 고려 중기에 남경이 개발되면서 개경과 남경을 오가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졌으나 안전한 통행과 숙박을 위한 시설은 부족하였다. 특히 혜음령 일대는 인적이 드물고 도적떼가 많아 통행할 때 가장 위험한 구간이었으므로 이곳에 여행객의 .. 2022. 8. 15.
#고양 행주서원지 #행주서원 #권율장군 는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로 127-17에 있는 경기도문화재자료 제71호이다. 예전에는 문이 굳게 닫혀 있었는데, 언제 부터인가 문화재 해설사분도 상주해 계시는 듯 싶다. 행주서원은 원래 라는 명칭으로 1842(헌종 8)에 왕명에 의해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을 승리로 이끈 충장공 권율(1537~1599) 장군을 배향한 곳이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보존된 47개 서원과 사(祠) 중의 하나이다. 그 후 서원이 되었다고 한다. 건물의 배치는 외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강당 그리고 뒤에 내삼문과 기공사의 배향공간이 배치되어 있고, 기공사 좌측에 행주대첩비가 있다. 또한 앞쪽 강당 좌측 낮은 곳에 전사청이 있다. 2022. 7. 26.
#34회 고양행주문화제 #람사르협약 습지 #장항 습지 고양특례시에서는 2022. 6. 10. ~ 12(3일간) 제 34회 고양행주문화제를 개최하였다. 여러 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는데, 3일 간의 일정을 모두 소화하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 1593년 행주산성에서 권율장군은 왜군을 대파하게 되는데 바로 행주대첩이다. 행주문화제는 승전의 그 날을 기념하자는 의미가 크다 여겨진다. 이번 행사에서 나름 의미를 두자면 국가무형문화재 제 12호 를 관람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일부러 진주에 가야만 보았을텐데, 지역문화의 교류라는 아주 특별한 기회가 참 좋았다. 작은 공간이였지만, 람사르협약에 의해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장항습지 홍보관의 내용도 흥미로웠다. 장항습지는 탐방 가능지역이었으나, 지뢰 사고로 현재는 관람할 수 없다고 한다.. 2022. 6. 14.
#비둘기낭 폭포 #한탄강 하늘다리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포천 비둘기낭 폭포와 한탄강 하늘다리에 다녀왔다. 하늘은 꾸물꾸물하더니 눈이 쏟아지고, 제법 기온도 차가왔다. 푸르름의 계절이 아쉬웠던 하루,.... 안내문을 옮겨 보았다. 기둥 모양을 의미하는 주상절리와 물이 깎아 놓은 하식동굴(하식동) 주상절리는 ‘기둥모양의 돌 틈’이란 뜻으로 암석이나 지층에서 나타나는 기둥 모양의 평행한 틈(절리)입니다. 주로 용암이 분출되어 굳어진 화산암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뜨거운 용암이 분출하여 식을 때 부피가 줄어들면서 만들어집니다. 일반적으로 다면의 6각형 모양을 이루며 용암이 식는 환경에 따라 4~8각의 다양한 모양을 이루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동해안 해안 등에서 잘 발달되며 내륙에는 한탄강이 대표적인 주상절리 지역입니다. 절리는 형태에 따라 기.. 2022. 1. 17.
#한반도 최초의 재배 볍씨 #가와지 #가와지볍씨박물관(1) 볍씨 한 톨에 담긴 5020년 역사의 진실,... 한반도 최초의 재배 볍씨를 만나다. 야생벼가 아니라 재배벼라는 사실을 어떻게 입증했을까? 재배 볍씨의 단서는 바로 '소지경',... 소지경이란? 벼의 줄기 부분과 낱알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자연탈립인지, 인위적인 채취가 있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잠시 과거를 거슬러 봄도 좋을 듯 합니다. 2021. 10. 4.
#강화 전등사 #나부상 #정족사고 #삼랑성 전등사,.. 내가 방문한 횟수가 가장 많은 사찰일 것 같다. 굳이 이유를 들자면, 자연과 어우러진 한옥의 아름다움, 문화재 탐방, 그리고 접근성 등 의미가 있을 것 같다. 강화도에 올때마다 두어번 정도 걸러 들렀던 것 같다. 한옥과 문화재 관람은 내가 절에 다니지는 않지만, 가끔 절에 가는 이유다. 유구한 역사를 간직한 이 사찰에는 도편수와 주모의 이야기,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였던 사고, 병인양요를 승전으로 이끈 양헌수비, 사찰의 주위 능선으로 둘러진 삼랑성 등을 볼 수 있다. 어느 사찰에서도 볼 수 없는 조건이 발길을 잡는지도 모르겠다. 10월. 단풍이 물든 사찰의 풍경도 참 예쁠것 같다. 2021. 10. 1.
#전창신 서장 #인천 여자경찰서 옛터 #인천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 23번기 49 중앙프라자 앞에 를 알리는 기념물이 있다. 아래 내용은 기념물과 전창신 서장에 대한 내용으로 2019. 10. 01자 경인일보에서 펌하였다. 인천지방경찰청은 30일 중구 신포동에서 '인천 여자경찰서 옛터·전창신 경감 기념물 제막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기념물 제막식이 열린 신포동 부지는 1947년부터 10년간 인천 여자경찰서가 운영됐던 자리다. 여자경찰서는 광복 후 혼란했던 시기 여성과 아동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인천을 비롯해 서울과 부산, 대구 등 4곳에 세워졌다. 기념물엔 과거 인천 여자경찰서 서장을 지낸 전창신(1901~1985) 경감의 업적과 옛 인천 여자경찰서의 유래 등이 담겼다.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제2대 인천여자경찰서장으로 활동한 전.. 2021.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