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나 만의 택리지를 꿈꾸며,...
전라도 기행

전남 진도(1) - #진도남도진성 #사적 제127호 #남동리 쌍운교 #남동리 단운교

by 포리시스 2018. 8. 21.

   전남 진도(1) - #진도남도진성 #사적 제127호 #남동리 쌍운교 #남동리 단운교



   진도 <남도남도진성>은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149에 위치한 사적 제127호이다. '성'이란 일정 지역을 보호하고 행정이나 군사의 중심지로 활용하기 위해 돌이나 흙으로 쌓은 건조물을 말한다.


[남쪽 성곽]


   남도진성은 현재 남동마을을 감싸고 있는 평탄한 대지 위에 돌로 축조된 성이다. 조선 초기에는 왜구가 해안을 자주 침범하여 해안과 섬 지방에 성을 쌓고 수군을 파견하였다.


[동쪽 성곽]


   당시 이 곳의 지명이 남도포(남도포)였으며 만호(만호)가 책임자로 파견되었기 때문에 '남도포수군만호진성'이라 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남도포에 만호가 처음 생긴 것은 조선 세종 20년(1438) 정월의 일이다.


[서쪽 성곽]


   이로 미루어 보면 현재 남아있는 성은 세종 20년 이후에 쌓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성문과 옹성]


   성의 둘레는 610m, 높이 2.8m~4.1m에 이르며, 성문과 옹성(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 등도 형태가 뚜렷하다. 남도석성은 수군만호진성으로는 그 유적이 잘 남아 있어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


[성문과 옹성]


   [진도 남동리 쌍운교 및 단운교]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215호이다.



   남도석성의 남문 밖을 흐르는 개울인 <세운천>을 건너는 2개의 무지개 다리이다. <단운교>는 옆에서 볼 때 무지개 모양이다. 다리 위에는 흙을 돋우고 잔디를 싶었다.



   길이 4.5m , sjql 3.6m, 높이 2.7m로 작은 규모이다. 주변의 흔한 돌을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는데, ㄷ리의 아치 윗부분에는 편마암질의 돌을 판석 형태로 썼고, 아랫부분에는 약간 큰 강돌을 썼다.



   특이하게 아치부분은 다듬지 않은 납작한 돌을 세로로 세워서 불규칙하게 돌려 쌓았다.



   <쌍운교>는 개울의 너비가 넓어 쌍무지개 형식으로 만든 점이 단운교와 다르다. 단운교와 마찬가지로 편마암질의 다듬지 않은 돌과 강돌로 쌓아 만들었다.



   길이 5.5m, 폭 2.5m, 높이 2.5m이다. 단운교가 세워진 시기는 1870년 이후이나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쌍운교는 주민들이 1930년경에 세웠다고 한다.


[관아 건물]


   이 두 다리는 비록 규모는 작으나 단하한 멋이있고, 자연석을 사용하여 투박하지만 오히려 서민적인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남도석성 만호비]

   남도 포에 설치된 수군 제진의 수장 중에서 이 곳에 세워진 비석들은 뛰어난 수군만호들을 기념하고 있다.



   고려 말 수군을 재건할 때 각 도별로 도만호 관하에 만호.천호 등을 두면서 비롯된 수군 만호는 조선 태종 때 3품 이상의 관직을 만호로 칭했다가,



   1443년(세종 25년)에 3~4품을 모두 만호로 통일하여 각 도에 둔 제진을 관장하게 했다. 그 뒤 종 4품으로 고정되었다.



   만호는 대부분이 무예에 능한 전임직이었는데 여기에는 모두 여섯 분의 만호비가 모셔져 있다. 이들 만호비들은 원래 남도석성 안에 마을 중간쯤에 있었던 것을 마을 사람들의 합의 아래 현재 위치로 옮겼다.


[단운교]


   만호비는 조선 후기 수군만호의 선정비로 영세불망비 또는 청덕선정비라고 돌에 새겨 만호들의 공적을 기렸다. 만호김공익대청덕선정비(1753년)를 비롯하여 만호서공성록영세불망비(1849년),


[쌍운교]


   행가장가선대부김후이종보민불망비(1864년), 만호이공찬홍영세불망비(1874년), 만호김공명하영세불망비(1875년), 만호노공홍선정비 (갑진)가 있다.


[만호비]


   진도남성은 둘레 600여미터의 아주 작은 성이다. 성 안에는 관아의 건물을 복원을 해 놓은 것 같은데 단청이 되어 있지 않아 목재가 검게 퇴색되어 있고, 물빠짐과 주변 정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아쉬움이 많았다.



   가까운 곳 같으면 모를까 같은 곳에 두어번 이상 간다는 것은 무리이다. 다음에 이 곳에 드렀을 때에는 많은 건축물의 복원과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음을 느꼈으면 좋겠다. <옹>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