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나 만의 택리지를 꿈꾸며,...

전체 글664

여울목수석회창립전 여울목수석회창립전 우연히 현수막을 보고 둘러본 수석전시장에서 나름 디카를 눌러 보았다. 사실 수석에 관한 지식은 전혀 없다. ㅋㅋ 수석??? 다양한 사람들의 각양각색 누리는 한 부류의 취미일 수도 있겠다. 그져 반들거리고, 무늬가 좀 있고, 아니면 흡사한 문양, 형태,... 등등 많은 사람들이 느끼.. 2010. 11. 28.
경기 고양(14) - 고양향교 고양향교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306번지에 위치한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9호 이다. 향교는 조선시대 국가에서 설립한 지방교육기관으로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향교 외삼문] 양민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시나 문장을 짓는 사장학과 유교의 경전 및 역.. 2010. 11. 28.
경기 고양(13) - 권희 선생 묘 권희선생 묘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산 60-35에 위치한 향토유적 제38호 이다. 권희는 고려말 조선전기의 문신으로 고려 충숙왕 6년(1319)에 출생하여 조선 태종 5년(1405)에 돌아 가셨다. 본관은 안동으로 조선조 전기의 문신. 승려. 정치가. 현인. 학자로서 이름난 공경공 화. 도승통 이.. 2010. 11. 27.
강원 강릉(6) - 오죽헌 어제각 오죽헌 어제각 율곡 이이의 저서 <<격몽요결>>과 어린시절 사용하였던 벼루를 보관하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오죽헌 내 어제각] [어제각 뒤쪽의 오죽] 1788년 정조임금은 율곡이 어렸을 때 쓰던 벼루와 친필로 쓴 <<격몽요결>>이 오죽헌에 보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듣고, [어제각 현판] [.. 2010. 11. 27.
동부 동부(cpwpea)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콩과 > Vigna 속 학명 : Vigna sinensis 분포 : 아프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 서식 : 따뜻한 지방 크기 : 약 7.5cm~30cm 다른 나라에서는 보통 중국콩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와 중동이 원산지로 여겨지나 중국에서도 오랜 옛날부터 심어왔다. 잎은 겹잎이며.. 2010. 11. 27.
두물머리 두물머리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서울 근교라 주말이면 가족과 함께 혹은 연인들끼리 예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곳으로 손색이 없겠다. 그런 이유로 사람들의 발걸음이 여전히 끊이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자주 이 곳을 지나치지만 목적을 가진 발걸음을 한 적이 없어 무턱대고 옮겨 보.. 2010. 11. 21.
운지버섯 운지버섯 운지버섯은 침엽수와 광엽수의 죽은 나무, 혹은 그루터기에서 자라나는 원형 및 반원형의 흑색 혹은 회색의 버섯이다. 그 조직이 가죽처럼 질기고 딱딱하여 맛도 없어서 식용으로 쓰이지 않으나 항암성분이 발견되면서 유명해진 버섯이라고 한다. 영지버섯에 비해 가격이 싼 탓으로 눈을 돌.. 2010. 11. 21.
서울 동작구(1) - 사육신공원 사육신 공원 서울 동작구 노량진1동에 위치한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8호 이다. [사육신공원 정문] 이 곳은 조선 제6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목숨을 바친 사육신을 모신 곳이다. [홍살문] [불이문] 단종 3년 음력 윤 6월(1455) 단종의 숙부인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고 즉위하매 이에 의분을 품은 충신들.. 2010. 11. 20.
서울 종로구(4) - 창경궁 창경궁 서울 종로구 와룡동 2-1번지에 위치한 사적 제123호 이다. 창경궁의 처음 이름은 수강궁으로, 1418년 왕위에 오른 세종이 생존한 상왕인 태종을 모시기 위해 지은 궁이었다. [홍화문 : 보물 제 384호] 창경궁의 역사는성종 13년(1482) 창덕궁의 수리를 논하는 자리에서 대비전의 세 어른인 세조의 비 .. 2010. 11. 20.
경기 수원(3) - 화령전 화령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92-2번지에 위치한 사적 제115호 이다. 1801년(순조 1) 순조가 선왕인 정조(正祖)의 지극한 효성과 유덕을 길이 받들기 위하여 세운 건물이다. [화령전 전경]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3칸, 8작지붕으로 화강석 기단 위에 세워진 익공(翼工)집이다. 총면적은 12,288㎡이다. [.. 2010. 11. 18.
서울 종로구 (3) - 향원정 향원정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 후원에 있는 누각이다. 경회루가 웅장하면서 격조 높은 풍류가 느껴진다면, 이 향원정에는 호사스러움 속에 정제된 아름다움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세조 2년(1456) 경복궁 후원에 '취로정'이라는 정자를 짓고 주변 연못에 연꽃을 심었다는 기록이 있다. 사각형의 .. 2010. 11. 3.
서울 마포구(4) - 봉산탈춤 봉산탈춤 황해도 봉산지방에서 전승되어 오던 가면극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 17호로 지정 되었다. 봉산탈춤은 오래전부터 황해도 여러 고장에서 추어오던 탈춤의 하나로서 '해서탈춤'의 대표격이 되는 탈춤이다. 봉산탈춤은 원래 봉산구읍 경수대에서 연희되었으나 1915년경 군청 기타 .. 2010. 11. 2.